저희집은 아파트입니다. 각 방은 Cat5E
케이블로 깔려있어서 기가인터넷이 지원되지만 인터넷 통합 단자는 Neo-PortFree NIS-HM1624FS로 100Mbps용 입니다. 그래서 SKB나 KT인터넷 같은 ISP업체에서 기가인터넷을 신청한다 하더라도 내부 네트워크는 100Mbps로 속도가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기가인터넷을 지원하는 스위칭 허브를 구매하여 전체적으로 내부 내트워크를 재구성하게 되어 포스팅 합니다.
기존의 구성
기존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근래에 지어진 아파트라면 대략 구성이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일단 SKB에서 인터넷을 신청을 하면 아래의 그림처럼 설치를 해주고 갑니다.
SKB 광 모뎀으로 광통신 신호를 받아서 1개는 인터넷 단자를 통해서 SKB에서 대여해 주는 SKB 유무선공유기로 보내주고 또 하나는 단자함에 있는 분배기(허브)를 통해서 각 방으로 보내주게 되어 있습니다.
저희는 분배기(허브)가 100Mbps만 지원해 주는 제품이라 죽었다 깨어나도 100Mbps이상의 속도는 낼 수 없습니다. 차라리 WIFI가 더 빠를 수 있게됩니다. 거실로는 분배기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1Gbps의 속도를 뽑아주기 떄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스위칭허브를 하나 구매해서 모든 유선 인터넷도 기가인터넷이 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인터넷 제공업체(ISP)에 인터넷을 신청하면 기본적으로 1~2대의 PC만 사용할 수 있는 IP를 제공해 줍니다. 추가 PC를 사용하려면 보통 월 1대당 5,000원정도의 추가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1Gbps 홈네트워크 구성도
변경은 아래와 같이 적용 했습니다. 각자 환경마다, 선호하는 방식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주로 서재에서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고 NAS나 프린터 등 인터넷 장비도 많이 있어서 서재가 매인 거점입니다. 거실은 SKB에서 준 유무선공유기로 무선WIFI를 사용하고, 구석에 있는 서재에서는 ipTIME유무선공유기로 WIFI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면서도 같은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구성에 전화단자도 사용되기 때문에 전화단자의 케이블도Cat5E
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보통 케이블 줄에 인쇄되어 있습니다.
광통신으로 들어온 SKB광 모뎀에 서재의 전화선 을 연결합니다.
서재의 전화선 단자에서 나온 케이블을 ipTIME공유기의 WAN 단자에 연결시킴으로 내부망의 게이트웨이가 됩니다.
4개의 인터넷 단자 중 3개는 NAS나 프린터, PC에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를 벽에 있는 인터넷 단자에 연결시킵니다.
다시 단자함으로 와서 서재 인터넷선을 ipTIME 스위칭 허브의 아무 단자에 연결합니다.
이제 모든 각방의 인터넷 선을 이 허브에 모두 연결을 시킵니다. 순서는 상관없습니다.
이로써 우리집의 모든 방이 기가 인터넷으로 바뀌게 됩니다.
실제 적용완료
이제 실제 적용된 사진을 보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기존의 모습은 미처 사진을 찍지 못했고 변경된 상태의 사진만 찍었으니 감안해서 봐주세요.
단자함에서 중요한 부분은 SKB광 모뎀과 100Mbps통합분배기, ipTIME 스위칭 허브 입니다.
광통신으로 들어온 신호를 모뎀을 통해 서재쪽 전화선을 통해서 보냅니다.
- 전화선으로 들어온 선을 ipTIME유무선공유기의 WAN에 연결을 시킵니다.
- 전화선을 WAN단자에 연결합니다.
- 단자에 선을 하나 뽑아서 벽면의 인터넷 단자에 다시 연결을 시킵니다.
다시 단자함으로 와서…
- 1번 서재에서 나온 인터넷 선을 스위칭 허브의 아무 단자에나 연결 시킵니다.
- 그리고 나머지 인터넷 선들도 모두 스위칭허브로 옮겨서 연결합니다.
이제 모든 것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로써 우리집의 모든 유선과 무선이 기가인터넷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확인해 본 결과 잘 됩니다. ^^
제가 사용한 스위칭 허브는 ipTIME의 SG16M-mini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
호오... 매우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저는 애초에 500메가 신청을 해서 사용하긴 하는데요.
말씀하신 대로라면 100메가 신청으로 1기가급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 ㅎㅎ-
내부적으로는 1기가 안에서 움직입니다.
다만 외부, 그러닌까 인터넷으로 외부와 통신할 경우는 신청한 속도, 그러닌까 500메가 신청하셨으면 그 속도를 넘지는 못합니다 ^^ -
아 그렇군용 ㅎㅎ 뭔가 밖에서 단자함까진 1기가로 오고, 백메가 신청이면 그후에 100 메가로 떨어지는 줄알았습니다. ㅜㅜ
내참 통신사가 그렇게 멍청할리가 없을텐데 ... ㅜ -
네 ^^ 그렇지요
-
-
저희는 그동안 10년 넘게 브로드밴드 사용하다
인터넷 속도가 너무 느려 최근에 기가 인터넷 500메가로 바꾸었는데
허브로 인터넷 속도를 바꾸는 방법도 있었네요.-
네.. 감사합니다.
500메가 신청하셨으면 500메가 이상 나오는것은 아닙니다 ^^
-
-
이렇게 사용하면 느려진 인터넷을 복구할 수 있다니 좋은 정보네요 ㅎㅎ
그나저나 스킨이 정말 예쁘네요 댓글창이 옆에 달려있다니!!-
감사합니다 ^^
-
-
구독하고가요 자주 소통해요 ㅎㅎ
-
넵 ^^ 감사합니다
-
-
전 단자함이 어디 잇는줄도 모릅니다 ㅡ.ㅡ;;
-
^^ 아파트면~ 보통 신발장 뒤에 커버안에 있어요. ^^
-
-
잘보고 가요^^
-
포스팅 늘 잘보고 있습니당!
오늘 마무리 잘하시구~
즐거운 한주 되세요^^-
감사합니다.^^
-
-
chuharu 2020.04.07 10:54
근데 이렇게 설정할 경우에 고정 ip 하나로 모든 방이 사용하는거라, 제대로 된 속도가 안나오지 않을까요?(각 방에서 인터넷 풀가동 기준으로)
스위칭 허브 포트3개가 남아있고, 보통 통신사서 고정 ip를 5~6개 배정해준다고 하던데, 다른 고정 ip까지 남김없이 사용하려면...개별 연결밖에 없겠지요?-
5~6개 배정해 주나요? 저는 1~2개 배정해 준다고 들었거든요.
그리고 저는 NAS가 있어서 일단 내부망을 하나로 묶는 목적이 커서 이렇게 구성했습니다^^
공유기 DHCP를 통해 로컬IP를 하나로 묶을 수 있어서요.
-
-
chuharu 2020.04.07 10:55
아, 물론 내부망 끼리가 아닌, 외부망 연결시입니다. -
chuharu 2020.04.08 22:56
아, 내부망끼리는 기가로 되겠지만, 외부접속시에는 기가 하나로 여러개 나눠쓰는 것 아닌지 여쭤본거였어요. 2개 이상 배정해줄 시 대역폭을 2개로 더 쓸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에....(광랜 선이 하나라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려나요...? ㅋㅋㅋ...) 답변 감사합니다! -
chuharu 2020.04.08 22:58
저는 아직 기가를 안써서 그런가, 저번에 기사님이 가정당 5~7개 배정해주신다고 답변해주셨어요...스위칭허브에 꽂아서 동시에 몇개까지 ip배정되는지 테스트해보시면 확인되실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도 외부망이 기가는 아니고 500M 쓰고 있습니다. ^^
-
-
dodonam 2020.07.08 15:14
iptv는 따로 ip를 달아줘아한다는데 스위칭허브는 자동으로 잡아주나요?-
네.. 스위치는 그냥 전달자 역활만 합니다. IGMP를 지원하면 IPTV는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
-
안녕하세요~ 저도 이번에 이사하고 집 내부에 기가비트 통신을 갖추기 위해 이것저것 공부 중인데요. 여러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각 방에 깔려있는 케이블 스팩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단자함에서도 케이블 종류는 잘 안보여서 ㅠㅠ
그리고 각 방마다 PC 랜포트가 2개인데, 통신 단자함에서는 방마다 PC용 랜선 하나씩만 뻗어나가서 방마다 분배기가 따로 매설되어있을까봐 무섭네요.. 그러면 그 매설되어있는 방 분배기를 바꾸지 않는 이상 기가비트가 안나올 것 같아서..-
새로지은 아파트로 이사하셨다면 케이블은 거의 90%가 UTP cat5e 일겁니다. 1Gbps를 지원할거에요.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없고 공유기 화면에서 1Gbps나오는지로 짐작하거나 시공회사에 물어봐야 할거에요.
각 방에 있는 랜선 단자 2개 중 하나는 인터넷선이고 하나는 전화선 단자입니다. 똑같이 생겼지요.
단자함에서도 하나는 랜스위치에서 찾아야하고 하나는 전화선스위치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
-
알 수 없는 사용자 2020.11.09 21:47
새 아파트로 이사왔는데 쓰신 글처럼 스위칭 허브가 100MB 짜리로 달려있네요. 랜선은 cat.5e 로 되어 있습니다. 초고속정보통신 1등급 아파트인데 특등급짜리 스위칭 허브 모델 NSH-1501로 달려있더군요... 근데 SKB 기사님이 이사하면서 기존에 쓰던 모뎀 H614G를 통신단자함에 넣고 연결해주고 가셨습니다. 500MB 반기가 광랜을 이용하려면 필요한 거라고 하시던데...
근데 가끔 인터넷을 하면 로딩이 조금 걸리거나 약간 느릴 때도 있긴 하던데 말씀하신대로 아이파티임 같은데서 나오는 기가 스위칭 허브를 구입해서 단자함에 넣고 SK 모뎀과 연결하면 될까요??
그리고 통신사 SK 공유기도 거실에 있어서 이런가 침실1이 현관쪽 끝방이라 그런지 와이파이가 종종 약한듯 싶습니다. 이럴경우 거실 공유기를 메쉬 가능한 공유기 같은걸로 바꾸는게 나을지 아님 쓰신글 보니 서재에 아이피타임 공유기 하나 더 놓고 쓰시는던데 그러는 게 나을까요?-
반기가 광랜을 쓰시면 외부와의 소통(인터넷)은 무조건 500Mbps이상 나올수는 없습니다. 다만 내부망(집안)끼리는 1Gbps가능할것 같습니다.
저는 사설아이피를 하나로 묶기위해 익숙하고 통제가 쉬운 매인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서재에서 둔 것일뿐 굳이 아이피를 하나로 묶을 필요가 없다면 SK아저씨가 설치해준상태에서 작은방은 그냥 익스텐더를 하나 달아도 될것 같습니다. 메쉬로 구축하면 좋기는한데.. 아마 SK에서 설치해준 공유기는 그런기능이 없을것 같습니다.
-
-
안녕하세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나스를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 외부접속은 사용안하시는건가요? SKB광모뎀이 최상단이면 ipTIME공유기는 내부아이피로 할당받아서 외부접속이 안되는 것 아닌가 싶어서 여쭤봅니다.-
외부접속 가능합니다.
SKB모뎀은 단순히 광통신신호를 받아서 넘겨주는 역활만 할 뿐이고 게이트웨이 역활은 아이피타임공유기가 합니다. 그아래에 SKB공유기가 붙어서 거실에 있는거구요
-
-
계세요??
-
와... 채팅창 신기하네요.. 하나 물어 볼게 있어서요..
단자함에서 공유기 설치 후 허브를 바로 연결하면 될것같은데 왜 서재로 갔다가 오는거죠? 서재에서 와이파이 사용때문인가요?..
-
네~~ 맞습니다. ^^ 서재의 와이파이의 활용 때문에 그렇게 했어요
-
-
위젯이 신기하네요.. 저도 사용하고 싶은데 방법 좀 알 수 있을까요?
-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06.02 22:58
이상태로 정말 기가인터넷 환경이 되나요?
SKB 광모뎀에서 전화선 갈때 100Mbps통합분배기를 거쳐서 간다면, 이후 속도는 최대가 100Mbps가 될텐데... 어떻게 기가인터넷이 된다는 말씀이시죠? 100Mbps 통합분배기(스위칭허브)를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스위칭허브로 바꾸고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기가인터넷이 된다면 아파트에 기본으로 설치된 통합분배기가 100Mbps가 아닐 가능성이 높겠네요.-
아.. 네.. 기존에 있는 통합분배기를 거치는게 아니고 전화선만 사용하는 것입니다.
-
